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웹/Javascript9

JS의 Truthy vs Falsy 자바스크립트에서 truthy 값이란, 불리언(Boolean)으로 평가되는 상황에서 true로 취급되는 값을 말합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특별히 falsy (거짓 같은)로 정의된 값을 제외한 모든 값이 truthy(참 같은) 값입니다.truthy: 참 같은 값, Boolean으로 평가되는 상황에서 true로 취급falsy: 거짓 같은 값, Boolean으로 평가되는 상황에서 false로 취급다음은 falsy 로 정의된 녀석들 입니다.출처: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Glossary/Falsy// truthyif (true)if ({})if ([])if (42)if ("0")if ("false")if (new Date())if (-42)if (12n)if (3... 2025. 3. 27.
JS의 자료형 자바스크립트에서 값은 항상 문자열이나 숫자형 같은 특정한 자료형에 속합니다.이번에는 이 녀석을 살펴봅시다.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는 자료형에 관계없이 모든 데이터가 가능합니다.이게 무슨 말이냐면 어떤 변수를 let 키워드를 통해 선언한 뒤 문자열을 할당했다고 가정합시다.여기서 저는 다시 이 변수에 숫자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let a = "Hello";a = 10// 에러 상황이 아님. 정상적인 상황따라서 어떤 순간에는 문자열일 수도, 어떤 순간에는 숫자일 수도, 또 어떤 순간에는 다른 자료형일 수도 있습니다.이처럼 데이터의 타입이 존재하긴 하지만 타입이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언어를 동적 타입 언어라고 합니다.자바스크립트는 이에 속하겠죠.이제 본격적으로 알아봅시다.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자바스크립트의 데이터.. 2025. 3. 27.
JS에서 변수 선언하기 var, let, constJS에서는 변수나 상수를 만들때 var, let, const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var, let은 변수 선언, const는 상수 선언입니다. JS 개발자들이 주로 하는 말에는 이런 말이 있습니다.*"var는 죽어도 쓰지마!!! let이랑 const만 사용해!!"*맞는 말이지만 이유는 뭘까요??여기서는 var를 사용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고 let과 const를 사용하면 그 문제를 어떻게 보완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먼저 var와 let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var와 let의 차이둘의 차이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스코프(Scope)중복 선언(Variable redeclaration)호이스팅(Hoisting)스코프(Scope)스코프는 코드가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합니다.. 2025. 3. 27.
반응형